Samsung Software Membership
    • BLOG
    • ABOUT US

    S/W 멤버십 기술 블로그

    • rkm0959's profile image

      rkm0959

      March 15, 2021

      Inequality Solving with CVP

      서론 이 글은 제가 CTF 대회에서 자주 사용하는 toolkit인 github.com/rkm0959/Inequality_Solving_with_CVP의 설명서입니다. 이미 README에 많은 설명이 있지만, 설명서라기에는 부실한 점이 많아 이를 보강합니다. 제가 이 글을 작성하는 목적은 이 repository의 존재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하기 위해서 이 repository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CTF를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알리기 위해서 이 repository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기를 바라기 때문 이 repository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 점을 참고하시고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에서 모든 나눗셈은 floor function을 거친 결과로 생각하시기...

      ctf cryptography

    • leejseo's profile image

      leejseo

      March 10, 2021

      매트로이드에서의 Submodular Maximization에 대한 Deterministic algorithms

      이 글에서는 매트로이드 상에서의 submodular maximization과 관련한 여러 연구의 결과들을 소개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트로이드와 submodular function 등 여러 개념의 정의를 소개하고, 매트로이드 상에서 submodular function을 최적화 하는 것이 실생활의 어떤 문제에 관련이 있는지 먼저 살펴봅니다. 그 후, 이 문제와 관련한 여러 연구 결과들을 살펴봅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이 글에서는) 결정론적인 알고리즘들을 다룹니다. 1. 여러 개념 및 정의 먼저, submodular function 및 그에 대한 marginal gain을 정의합니다. 정의 1. 유한집합 $\mathcal{N}$에 대해 함수 $f : 2^\mathcal{N}...

      optimization algorithm matroid

    • jeonggyun's profile image

      jeonggyun

      February 21, 2021

      LSM Tree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key-value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좋은 성능을 내는 LSM Tree(Log-Structured Merge Tre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key-value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B-Tree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만약 저장되는 매체가 disk라면, B-Tree는 많은 random access를 발생시켜 저조한 성능을 내게 됩니다. 하지만 이 때 LSM Tree를 사용하면, write를 할 때 append only 방식으로 저장을 하기때문에, write를 sequential하게 처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LSM Tree의 기본 구조 LSM Tree는 1996년 Patrick O’Neil의 논문 The Log-Structured Merge-Tree...

    • RBTree's profile image

      RBTree

      February 20, 2021

      Gröbner basis

      서론 최근 다변수 Coppersmith Method와 관련해 살펴보면서 Gröbner basis, 한국어로는 그뢰브너 기저에 대해서 접하게 되었습니다. 다변수 Coppersmith Method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 $x_1, x_2, \dots, x_k$에 대한 어떤 modular equation $f(x_1, x_2, \dots, x_k) \equiv 0 \pmod n$을 풀고 싶다. 단, $x_1, x_2, \dots, x_k$는 $n$에 비해서 매우 작다. Howgrave-Graham Theorem과 LLL algorithm을 적용해 $g_1(x_1, x_2, \dots, x_k) = 0, g_2(x_1, x_2, \dots, x_k) = 0, \cdots, g_l(x_1, x_2, \dots, x_k) = 0$...

      cryptography

    • blisstoner's profile image

      blisstoner

      February 20, 2021

      Multi-Party Computation 1

      1. Introduction 두 부자 Alice와 Bob이 있다. 두 명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재산이 얼마인지 공개하지 않고 누구의 재산이 더 많은지 비교하고 싶다. 라는 문제를 생각해봅시다. 사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Alice와 Bob이 모두 신뢰할 수 있는 Charlie가 있다면 Alice와 Bob이 Charlie에게 자신의 재산을 알려주고 Charlie가 비교를 한 후 누가 더 재산이 많은지를 두 사람에게 알려주면 됩니다. 하지만 두 사람이 모두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가 없다면 상황이 많이 복잡해집니다. 결국 대소를 비교하려면 양쪽의 값을...

      Cryptography

    • Previous Page
    • 41
    • 42
    • 43
    • 44
    • 45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S/W Membership

    Copyright © SAMSUNG SOFTWARE MEMBERSHI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