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taky's profile image

tataky

September 17, 2019 23:00

PS Training 2

problem-solving

안녕하세요, 이번 달에도 Problem Solving 관련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참가한 대회가 없지만, 연습 과정에서 만난 문제들 중 괜찮은 문제들을 추려 모아 보았습니다. 이번에도 문제의 풀이와 소스 코드, 링크 등을 정리합니다.

Circling Round Treasures

Codeforces Round #221 (Div. 1)의 C번 문제입니다.

$N * M$ 격자 그리드 안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놓여 있습니다.

  • 폭탄
  • 빈 칸
  • 보물
  • 장애물

주인공은 주어진 어떤 시작점에서 출발해, 상하좌우 중 빈 칸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동하는 데는 1원이 듭니다. 이동을 마치고 시작점으로 돌아왔을 때, 주인공의 경로로 감싸진 영역의 내부에 있는 보물의 가치 합에서 이동 비용을 뺀 값을 최대화 하세요. 단, 주인공의 경로로 만들어진 영역 내부에 폭탄이 하나라도 있으면 안 됩니다.

주인공은 단순 다각형을 만들 필요가 없고, 시작점을 지나쳐 여행을 계속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시작하자마자 여행을 끝내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엔 아무 보물도, 폭탄도 얻지 않은 것으로 칩니다.

제약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 N, M <= 20 $, 폭탄과 보물의 개수 합은 8개를 넘지 않음, 보물의 가치는 -200 이상 200 이하인 정수

입력은 아스키 문자 그리드 형태로 주어지며, 시작점은 ‘S’, 폭탄은 ‘B’, 빈 칸은 ‘.’, 보물은 한 자리 숫자로 주어집니다. 그리드가 모두 입력된 뒤, 주어진 보물의 개수만큼, 보물의 가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7 7
.......
.1###2.
.#...#.
.#.B.#.
.3...4.
..##...
......S
100
100
100
100

위와 같은 그리드에서는 아래처럼 이동할 수 있습니다.

treasure1

위의 경로에서는 가치가 100인 보물 1, 2, 3, 4를 각각 얻게 되며, 이동 경로의 길이는 36이므로 총 364의 이득을 얻게 됩니다. 또한, 이것이 최적해 중 하나입니다.

풀이

우선, 폭탄을 가치가 -10000000인 보물인 것으로 둡니다. 이렇게 할 경우, 폭탄을 포함하는 해는 자동으로 최적해가 아니게 되어 예외처리가 필요없게 됩니다.

풀이에 앞서, 어떤 점이 다각형 내부에 있는지 판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이 문제에서 굉장히 유용하게 쓰이는 방법 하나가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케이스부터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reasure2

사각형 내부에 있는 점 A와 외부에 있는 점 B입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볼록 다각형에서 어떤 점이 다각형의 내부에 있는지를 판정하려면, 볼록다각형의 각 꼭지점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회하며, 인접한 두 꼭지점이 만드는 방향성 있는 선분에 대해 점이 항상 반시계 방향에 있는지 체크하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볼록 다각형은 모든 내각이 180도 이하이기 때문에, 어떤 선분을 잡더라도 항상 그 반시계 방향에만 볼록 다각형의 내부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은 이 문제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우선, 만들어질 다각형이 볼록 다각형이 아니며, 다각형이 완성된 뒤에야 판정이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보다 더 일반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방법 중 가장 유명하고, 또 이 문제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Ray Casting입니다. 주어진 점에서 출발하는 어떤 광선 하나를 발사합니다. 이 방향성 있는 반직선이 다각형과 교차한 횟수가 홀수이면 이 점은 다각형 내부에 있으며, 아니면 외부에 있습니다. 그림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treasure3

도형의 외부에 있는 점 B에서 출발한 반직선(빨강)은 도형과 0회 또는 2회 교차하므로 짝수번 교차하고,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A에서 출발한 반직선(파랑)은 도형과 1회 교차합니다. 이 때, 점 A에서 출발한 보라색 반직선처럼 도형의 꼭지점을 정확히 지나는 반직선을 판정에 사용하게 될 경우, 판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A에서 출발한 반직선이 도형과 두 번 교차한다고, 즉 해당 꼭지점에 인접한 두 선분을 지난다고 판정하게 되거나, B에서 출발한 반직선이 도형과 한 번 교차한다고 판정하게 되는 등의 이슈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가능하다면 이론상 꼭지점을 절대로 지나지 않는 기울기의 반직선을 이용하면 좋고, 여의치 않다면 랜덤한 반직선 여러 개에 대해 테스트해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 그리드의 사이즈가 충분히 작기 때문에, 반직선의 기울기를 1/59, 1/71 등으로 잡으면 출발 지점이나 도형의 형태와 상관없이 꼭지점과 절대로 교차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판정의 결과가 항상 옳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다각형의 선분 하나를 지나친다는 것은, 다각형의 내부에 있었다면 외부로 나가고, 외부에 있었다면 내부로 들어가는 것과 동치입니다. 짧게 말해, 내/외부 상태가 flip되는 것입니다. 또한, 무한히 먼 위치의 점은 다각형의 외부에 있음이 자명하므로, 반직선이 충분히 멀리 가는 동안 홀수 번 교차했다면 원래 점은 다각형의 외부와 다른 상태, 즉 내부에 있는 것이고, 짝수 번 교차했다면 다각형의 외부와 같은 상태, 즉 다각형의 외부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서술은 다각형이 볼록하거나 단순하다는 가정을 하지 않아도 성립하기 때문에, 임의의 도형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다각형이 완성되기 전에도 어떤 점이 결론적으로 다각형 내부에 포함될지, 혹은 그렇지 않을 지를 계속해서 판정해나갈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합시다.

d[mask][row][col] = 현재 (row,col)에 있고, 각 보물들에서 출발한 어떤 반직선이
현재까지 다각형과 교차한 횟수가 홀수이면 1, 아니면 0으로 만든 8자리 비트마스크가
mask인 상태까지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 이동 횟수

위와 같이 정의하게 될 경우, 가능한 상태는 총 ${2}^{8}NM$이며, 4개의 가능한 방향에 대해 한 칸 움직이고, 8개의 보물에서 출발한 반직선과 현재 이동하며 만들어진 길이 1인 선분의 교차 여부를 판정하여 마스크를 변경해주면 되므로, 최종적으로 $4×8×{2}^{8}NM$ 정도의 연산량을 가지는 BFS로 위의 배열을 모두 채울 수가 있습니다. 이 연산량은 최대 3276800이고, 통과하기에 매우 넉넉합니다.

배열을 모두 채운 뒤엔, (row,col)이 시작점인 모든 mask에 대해 비용을 계산해 최댓값을 찾아 주기만 하면 됩니다. 미리 각 mask의 비용을 전처리해 두면 이 과정에 걸리는 연산량은 배열을 채우는 연산량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구현

구현은 설명보다는 조금 더 복잡한데, 선분 교차 알고리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저는 실수 오차를 피하기 위해 정수 연산만을 사용했습니다. 선분 A와 선분 B가 교차하려면, 선분 A를 기준으로 B의 양 끝점이 하나는 왼쪽, 하나는 오른쪽에 있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선분 B를 기준으로 선분 A의 양 끝점이 하나는 왼쪽, 하나는 오른쪽에 있어야 합니다. 사실 왼쪽/오른쪽이라는 표현보다는, 시계/반시계 방향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으나, 더 직관적인 설명을 위해 방향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소스 코드의 전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명한 대로 BFS를 시도하고 최대 이득을 계산합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clude <queue>
#include <tuple>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typedef tuple<int,int,int> ti;
 
int d[20][20][1<<16], n, m;
int dr[4]={-1,0,1,0}, dc[4]={0,1,0,-1};
char b[20][21];
 
bool pos(int r, int c) {
	return 0<=r&&r<n&&0<=c&&c<m&&b[r][c]=='.';
}
 
vector<ti> v;
int r[16][4], val[16];
 
int ccw(int x1, int y1, int x2, int y2, int x3, int y3) {
	int d=x1*y2+x2*y3+x3*y1-(x1*y3+x2*y1+x3*y2);
	if(d<0) return -1;
	else if(d==0) return 0;
	else return 1;
}
 
bool on(int x1, int y1, int x2, int y2, int x3, int y3) {
	return ccw(x1,y1,x2,y2,x3,y3)==0 &&
		min(x1,x2)<=x3 && x3<=max(x1,x2) &&
		min(y1,y2)<=y3 && y3<=max(y1,y2);
}
 
bool cross(int x1, int y1, int x2, int y2, int x3, int y3, int x4, int y4) {
	if(on(x1,y1,x2,y2,x3,y3) || on(x1,y1,x2,y2,x4,y4) ||
		on(x3,y3,x4,y4,x1,y1) || on(x3,y3,x4,y4,x2,y2)) return true;
	return ccw(x1,y1,x2,y2,x3,y3)*ccw(x1,y1,x2,y2,x4,y4)<0 &&
		ccw(x3,y3,x4,y4,x1,y1)*ccw(x3,y3,x4,y4,x2,y2)<0;
}
 
int main() {
	scanf("%d %d",&n,&m);
	int sr, sc;
	int cc=0;
	for(int i=0;i<n;i++) {
		scanf("%s",b[i]);
		for(int j=0;j<m;j++) {
			if('1'<=b[i][j] && b[i][j]<='9') {
				int w=b[i][j]-'0';
				if(w>cc) cc=w;
			}
		}
	}
	for(int i=0;i<cc;i++)
		scanf("%d",&val[i]);
	for(int i=0;i<n;i++) {
		for(int j=0;j<m;j++) {
			if(b[i][j]=='S') {
				sr=i; sc=j;
				b[i][j]='.';
			} else if(b[i][j]=='B') {
				r[v.size()][0]=i; r[v.size()][1]=j;
				r[v.size()][2]=37; r[v.size()][3]=1999;
				v.push_back(ti(i,j,-1234567));
			} else if('1'<=b[i][j] && b[i][j]<='9') {
				r[v.size()][0]=i; r[v.size()][1]=j;
				r[v.size()][2]=37; r[v.size()][3]=1999;
				v.push_back(ti(i,j,val[b[i][j]-'1']));
			}
		}
	}
	memset(d,-1,sizeof(d));
	queue<ti> q;
	d[sr][sc][0]=0;
	q.push(ti(sr,sc,0));
	while(!q.empty()) {
		int cr=get<0>(q.front()), cc=get<1>(q.front()), h=get<2>(q.front());
		q.pop();
		for(int i=0;i<4;i++) {
			int nr=cr+dr[i], nc=cc+dc[i], nh=h;
			if(!pos(nr,nc)) continue;
			for(int j=0;j<v.size();j++) {
				if(cross(cr,cc,nr,nc,r[j][0],r[j][1],r[j][2],r[j][3]))
					nh^=(1<<j);
			}
			if(d[nr][nc][nh]<0) {
				d[nr][nc][nh]=d[cr][cc][h]+1;
				q.push(ti(nr,nc,nh));
			}
		}
	}
	int res=0;
	for(int i=0;i<(1<<v.size());i++) {
		if(d[sr][sc][i]>=0) {
			int sum=0;
			for(int j=0;j<v.size();j++) if(i&(1<<j))
				sum+=get<2>(v[j]);
			int w=sum-d[sr][sc][i];
			if(w>res) res=w;
		}
	}
	printf("%d\n",res);
	return 0;
}

Looking for Owls

Codeforces Round #203 (Div. 2) 의 D번입니다. 앞 문제에 이어, 또 기하 분야입니다.

좌표평면 위에 선분 $N$개와 원 $M$개가 놓여 있습니다. 우리는 올빼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올빼미는 원 두 개(i, j)와 선분 하나(k)로 이루어진다.
  • 두 원은 단 한 개의 점도 공통으로 가져서는 안 되며, 선분 k에 대해 선대칭이어야 한다.
  • 선분 k는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교점이 있어야 한다.
  • i와 j는 반지름이 동일한 원이어야 한다.

몇 개의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owl1

위는 올바른 올빼미의 예시입니다. 선분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동일하며 교점이 없는 두 원이 선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선분은 두 원을 중심을 잇는 선분과 만납니다.

owl2

위는 올빼미가 아닌 예시입니다. 선분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동일하며 교점이 없는 두 원이 선대칭을 이루고 있지만, 선분이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만나지 않습니다.

owl3

위 또한 올빼미가 아닌 예시입니다. 두 원이 선분을 기준으로 선대칭이 아닙니다.

제한은 아래와 같습니다.

$1 <= N <= 300000, 2 <= M <= 1500$, 각 좌표와 원의 반지름의 범위는 절댓값이 10000 이하이며, 길이가 0인 선분 또는 반지름이 0인 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주어진 모든 선분들과 원들 중 완전히 동일한 것은 없다.

풀이

원의 개수가 선분의 개수에 비해 훨씬 적은 것에 집중합시다. 올빼미는 원 두 개와 선분 하나로 이루어지므로, 두 원을 선택하고, 이 두 원과 함께 묶여 올빼미가 될 수 있는 선분의 개수를 빠르게 세는 쪽으로 접근하면 풀이가 보이게 됩니다.

우선, 원 두 개를 고릅니다. 두 원의 반지름이 다르거나, 두 원의 교점이 존재하면 (두 원 중심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합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명히 올빼미가 아니므로 건너뜁니다. 그렇지 않다면, 두 원 사이에 놓여 올빼미를 만들어 줄 선분의 개수를 세면 됩니다.

원 두 개가 고정되면, k의 후보가 될 선분의 기울기는 바로 결정됩니다.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수직이어야만 두 원을 선대칭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기울기를 곧바로 얻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선대칭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중점을 지나야 하므로, 평행이동에 관한 상수값도 바로 결정됩니다. 즉, 어떤 유일한 직선 위에 존재하며, 그 위에서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교차한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선분의 개수를 셀 수 있으면 됩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owl4

원 두 개가 결정되었다면 위의 빨간 점선 위에 놓여 있는 선분들 중, 두 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선분과 교점이 존재하는 것의 개수를 세면 됩니다. 선분은 유일하지 않으나, 그러한 선분이 놓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직선은 빨간 점선에 해당하는 하나로 유일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y=ax+b$ 꼴의 직선 대신, $ax+by+c=0$ 꼴의 암시적 직선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합니다. 기울기가 무한대인 직선을 따로 예외처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주어진 모든 선분에 대해, 그 선분을 포함하는 유일한 직선 $ax+by+c=0$을 미리 계산합니다. 이 때, 이러한 직선의 표현은 $ax+by+c=0$과 $-ax-by-c=0$ 꼴로 두 가지가 존재하므로, $a, b, c$중 0이 아닌 가장 앞 값이 양수인 표현 형태 하나만 올바른 것으로 둡니다. 또한 어떤 상수 $k$에 대해 $kax+kby+kc=0$ 꼴의 직선도 동일한 직선이기 때문에, $a, b, c$의 최대공약수로 $a, b, c$를 나누어 주고 계산해야 합니다.

이렇게, 각 선분을 해당 선분이 놓여 있는 직선 $ax+by+c=0$에 대해 $(a,b,c)$ 튜플을 키로 하는 자료구조에 담아 관리하면, 후보 직선이 얻어졌을 때, 해당 직선의 $(a,b,c)$값을 계산하여 후보가 될 선분만 모여 있는 장소에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cpp의 경우, map 등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이제 대칭, 기울기 등의 모든 조건은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a,b,c)$를 계산하여 다른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선분들의 목록을 얻었기 때문에,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교차할 수 있는 선분의 개수만 세면 됩니다.

이는 일종의 구간 쿼리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되는 모든 선분에 전처리로 일정하게 방향성을 부여하고 (위->아래 혹은 왼쪽->오른쪽 등), 각 $(a,b,c)$ 더미마다, 해당 더미에 포함된 선분들의 시작점을 따로 모아 정렬, 끝점을 따로 모아 정렬해둡시다. 그렇게 하고 나면, 두 원의 중점을 기준으로, 그 중점 뒤에 존재하는 시작점과 그 중점 앞 존재하는 끝점의 개수를 따로 세어 합해 주면, 답이 되지 “않을” 선분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두 집합은 disjoint하기 때문에 따로 세어 합해도 무방하며, 이 과정은 바이너리 서치를 통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답이 될 선분의 개수는 더미에 존재하는 전체 선분의 수에서 방금 구한 답이 되지 않을 선분의 수를 빼 주면 됩니다.

최종 시간복잡도는 $O({M}^{2}logN)$이 됩니다. 상수가 조금 큰 편이지만, 시간 제한이 넉넉하여 충분히 통과합니다.

구현

구현은 충실하게 위의 과정을 따르면 됩니다. convert 함수는앞서 설명한 방식대로 직선을 정제하여 유일한 표현을 만드는 함수이며, cnt 함수는 어떤 $(a,b,c)$ 더미 내에서 바이너리 서치를 진행하는 함수입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map>
#include <tupl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i;
typedef pair<lli, lli> ip;
typedef tuple<int, int, int> ti;
 
lli gcd(lli a, lli b) {
	return b ? gcd(b, a%b) : a;
}
 
class p {
public:
	lli x, y;
};
 
class seg {
public:
	p s, e;
};
 
class cc {
public:
	p c;
	lli r;
};
 
seg a[300000];
cc b[1500];
int n, m;
 
ti convert(lli dx, lli dy, lli x1, lli y1) {
	lli a = dy, b = -dx, c = dx*y1 - dy*x1;
	lli g = gcd(abs(a), gcd(abs(b), abs(c)));
	a /= g; b /= g; c /= g;
	if (a == 0) {
		if (b < 0) {
			b = -b; c = -c;
		}
	}
	else if (b == 0) {
		if (a < 0) {
			a = -a; c = -c;
		}
	}
	else {
		if (a < 0) {
			a = -a; b = -b; c = -c;
		}
	}
	return ti(a, b, c);
}
 
map<ti, vector<lli> > st, ed;
 
lli cnt(vector<lli>& v, lli pv, bool big) {
	if (v.empty()) return 0;
	if (big) {
		if (v.back() <= pv) return 0;
		if (v[0] > pv) return v.size();
		int lo = 0, hi = v.size() - 1;
		while (lo + 1 < hi) {
			int mid = (lo + hi) / 2;
			if (v[mid] > pv) hi = mid;
			else lo = mid;
		}
		return v.size() - hi;
	}
	else {
		if (v[0] >= pv) return 0;
		if (v.back() < pv) return v.size();
		int lo = 0, hi = v.size() - 1;
		while (lo + 1 < hi) {
			int mid = (lo + hi) / 2;
			if (v[mid] < pv) lo = mid;
			else hi = mid;
		}
		return lo + 1;
	}
}
 
lli process(cc c1, cc c2) {
	if (c1.r != c2.r) return 0;
	if ((c1.c.x - c2.c.x)*(c1.c.x - c2.c.x) + (c1.c.y - c2.c.y)*(c1.c.y - c2.c.y) <= 4 * c1.r*c1.r) return 0;
	ti t = convert(c1.c.y - c2.c.y, c2.c.x - c1.c.x, (c1.c.x + c2.c.x) / 2, (c1.c.y + c2.c.y) / 2);
	map<ti, vector<lli> >::iterator it = st.find(t);
	if (it == st.end()) return 0;
	lli res = it->second.size();
	if (get<1>(t) == 0) {
		lli pv = (c1.c.y + c2.c.y) / 2;
		res -= cnt(it->second, pv, true);
		res -= cnt(ed[t], pv, false);
	}
	else {
		lli pv = (c1.c.x + c2.c.x) / 2;
		res -= cnt(it->second, pv, true);
		res -= cnt(ed[t], pv, false);
	}
	return res;
}
 
int main() {
	scanf("%d %d", &n, &m);
	for (int i = 0; i < n; i++) {
		scanf("%lld %lld %lld %lld", &a[i].s.x, &a[i].s.y, &a[i].e.x, &a[i].e.y);
		a[i].s.x *= 2; a[i].s.y *= 2; a[i].e.x *= 2; a[i].e.y *= 2;
	}
	for (int i = 0; i < m; i++) {
		scanf("%lld %lld %lld", &b[i].c.x, &b[i].c.y, &b[i].r);
		b[i].c.x *= 2; b[i].c.y *= 2; b[i].r *= 2;
	}
	for (int i = 0; i < n; i++) {
		ti m = convert(a[i].e.x-a[i].s.x,a[i].e.y-a[i].s.y,a[i].s.x,a[i].s.y);
		if (a[i].s.x == a[i].e.x) {
			st[m].push_back(min(a[i].s.y, a[i].e.y));
			ed[m].push_back(max(a[i].s.y, a[i].e.y));
		}
		else {
			st[m].push_back(min(a[i].s.x, a[i].e.x));
			ed[m].push_back(max(a[i].s.x, a[i].e.x));
		}
	}
	for (map<ti, vector<lli> >::iterator it = st.begin(); it != st.end(); it++) {
		sort(it->second.begin(), it->second.end());
	}
	for (map<ti, vector<lli> >::iterator it = ed.begin(); it != ed.end(); it++) {
		sort(it->second.begin(), it->second.end());
	}
	lli res = 0;
	for (int i = 0; i < m; i++) {
		for (int j = i + 1; j < m; j++) {
			res += process(b[i], b[j]);
		}
	}
	printf("%lld\n", res);
	return 0;
}

The Shortest Statement

Educational Codeforces Round 51의 F번입니다.

문제 제목처럼 매우 간결한 문제입니다.

$N$개의 정점과 $M$개의 간선으로 이루어진, 가중치 있는 무향 연결 그래프가 주어집니다. 이 때, 두 정점 $U$와 $V$가 주어지면, $U$에서 $V$로 가는 최단 경로의 길이를 출력하는 질의를 $Q$번 처리하세요.

제약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 N, M <= 100000, M - N <= 20, 1 <= Q <= 100000 $

풀이

일반적인 것과 다른 제약 조건 하나가 있습니다. 간선의 수가 정점의 수 + 20을 넘지 않는다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이 없다면 (잘 알려진 방법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분명히 이 조건을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연결 그래프이므로 이 그래프에는 스패닝 트리가 존재합니다. 임의의 스패닝 트리 하나를 만듭시다. 이 트리는 $N-1$개의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패닝 트리에 쓰이지 않은 간선의 최대 개수는 많아야 21개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최단 경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스패닝 트리 위에서만 움직인다
  • 스패닝 트리 외에도, 트리에 포함되지 않은 21개의 간선을 하나 이상 사용한다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트리에서의 최단 경로는 LCA를 활용하면 $O(logN)$에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이 답의 후보가 됩니다.

이제 두 번째 경우인, 스패닝 트리에 포함되지 않은 어떤 간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반드시 이용하는 경우만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간선 중 어떤 임의의 하나를 $(s,t)$ 라고 합시다. 우리의 최단 경로는 $U$->$s$->$t$->$V$의 형태로 생겼으며, $s$->$t$의 경우엔 간선 하나가 됩니다. 이 때, 그래프가 무향 그래프이기 때문에, $U$->$s$ 최단 경로의 길이는 $s$->$U$ 최단 경로의 길이와 같습니다.

따라서, $(s,t)$가 될 수 있는 모든 정점, 많아야 42개의 정점에 대해, 해당 정점을 시작점으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초기에 실행해 둡니다. 스패닝 트리와는 관련이 없으며, 이제 이 42개의 정점과 다른 임의의 정점을 잇는 최단 경로는 O(1)에 알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쿼리마다 다음의 작업을 진행하기만 하면 됩니다.

  • 스패닝 트리 위에서의 최단 경로 계산
  • 트리에 없는 21개의 간선 $(s,t)$에 대해, ($s$->$U$ 최단 경로) + ($t$->$V$ 최단 경로) + ($s$->$t$ 간선 길이)를 계산.

이렇게 만들어진 후보 경로들 중 가장 가중치 합이 작은 것 하나를 택하면 됩니다. 이 때, $(s,t)$는 $(t,s)$ 로도 읽을 수 있으므로, 최단거리의 후보는 총합 43개가 됩니다. 이것들을 모두 계산하면 되며, 시간복잡도는 전처리 과정에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O(43MlogN)$, LCA 테이블 제작에 $O(NlogN)$, 그 이후 쿼리당 $O(42+logN)$이 되어 최종 $O(43MlogN + Q(42+logN))$이 됩니다.

구현

스패닝 트리를 만들고, LCA 테이블과 다익스트라 전처리를 마친 뒤, 쿼리마다 모든 후보를 살펴봅니다. 여러 개의 알고리즘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코드는 긴 편이지만, 모두 기본적인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utility>
#include <functional>
#include <algorithm>
#include <assert.h>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i;
typedef pair<lli,int> ip;
 
class e {
public:
	int v, w;
	e(int v, int w)
	:v(v),w(w)
	{}
};
 
class edge {
public:
	int u, v, w;
	edge(int u, int v, int w)
	:u(u),v(v),w(w)
	{}
};
 
bool cmp(const edge& i, const edge& j) {
	return i.w<j.w;
}
 
vector<edge> elist;
vector<e> con[100001], conp[100001];
vector<int> unv;
 
lli dd[44][100001];
 
void dij(int s) {
	int st=unv[s];
	priority_queue<ip,vector<ip>,greater<ip> > q;
	q.push(ip(0,st));
	dd[s][st]=0;
	while(!q.empty()) {
		lli dis=q.top().first;
		int u=q.top().second;
		q.pop();
		if(dd[s][u]<dis) continue;
		for(int i=0;i<conp[u].size();i++) {
			int v=conp[u][i].v, w=conp[u][i].w;
			if(dd[s][v]<0 || dd[s][v]>dis+w) {
				dd[s][v]=dis+w;
				q.push(ip(dd[s][v],v));
			}
		}
	}
}
 
int up[100001];
 
int fd(int u) {
	if(up[u]==0) return u;
	return up[u]=fd(up[u]);
}
 
void un(int u, int v) {
	up[fd(v)]=fd(u);
}
 
int dep[100001];
int par[17][100001];
lli d[100001];
 
int lca(int u, int v) {
	if(u==v) return u;
	if(dep[u]>dep[v]) swap(u,v);
	for(int i=16;i>=0;i--) {
		if(dep[par[i][v]]>=dep[u]) {
			v=par[i][v];
		}
	}
	if(u==v) return u;
	for(int i=16;i>=0;i--) {
		if(par[i][u]!=par[i][v]) {
			u=par[i][u]; v=par[i][v];
		}
	}
	return par[0][u];
}
 
lli qry(int u, int v) {
	return d[u]+d[v]-2LL*d[lca(u,v)];
}
 
int n, m;
 
void setlca() {
	for(int h=1;h<17;h++) {
		for(int i=1;i<=n;i++) {
			par[h][i]=par[h-1][par[h-1][i]];
		}
	}
}
 
void dfs(int pre, int u, lli l, int dp) {
	d[u]=l;
	dep[u]=dp++;
	for(int i=0;i<con[u].size();i++) {
		int v=con[u][i].v, w=con[u][i].w;
		if(pre==v) continue;
		par[0][v]=u;
		dfs(u,v,l+w,dp);
	}
}
 
bool used[100001];
 
int main() {
	scanf("%d %d",&n,&m);
	for(int i=0;i<m;i++) {
		int u, v, w;
		scanf("%d %d %d",&u,&v,&w);
		elist.push_back(edge(u,v,w));
		conp[u].push_back(e(v,w));
		conp[v].push_back(e(u,w));
	}
	sort(elist.begin(),elist.end(),cmp);
	for(int i=0;i<m;i++) {
		int u=elist[i].u, v=elist[i].v, w=elist[i].w;
		if(fd(u)!=fd(v)) {
			un(u,v);
			con[u].push_back(e(v,w));
			con[v].push_back(e(u,w));
			used[i]=true;
		}
	}
	dfs(-1,1,0,1);
	setlca();
	int cnt=0;
	for(int i=0;i<m;i++) if(!used[i]) {
		unv.push_back(elist[i].u);
		unv.push_back(elist[i].v);
		cnt++;
	}
	assert(cnt+n-1==m);
	sort(unv.begin(),unv.end());
	unv.erase(unique(unv.begin(),unv.end()),unv.end());
	memset(dd,-1,sizeof(dd));
	for(int i=0;i<unv.size();i++)
		dij(i);
	int q;
	scanf("%d",&q);
	while(q--) {
		int u, v;
		scanf("%d %d",&u,&v);
		if(u==v) {
			puts("0");
			continue;
		}
		lli res=qry(u,v);
		for(int i=0;i<unv.size();i++) {
			lli w=dd[i][u]+dd[i][v];
			if(w<res) res=w;
		}
		printf("%lld\n",res);
	}
	return 0;
}

마무리

이번에도, 각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링크를 첨부하며 마치겠습니다.

  • Circling Round Treasures : https://codeforces.com/contest/375/problem/C
  • Looking for Owls : https://codeforces.com/contest/350/problem/D

  • The Shortest Statement : https://codeforces.com/contest/1051/problem/F

감사합니다.